신용이 낮아 대출이 어려우신가요?
정부에서 시행 중인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제도를 통해 저신용자도 희망의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 포스팅에서는 지원대상, 지원내용, 이용방법, 취급처, 준비서류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립니다.
✅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이란? |
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신용점수가 낮아 금융 접근이 어려운 서민을 위해 정부가 보증을 서주는 금융지원 제도입니다.
보증기관이 대신 보증을 서주기 때문에 은행 대출이 어려운 분들도 저금리로 자금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👤 지원대상은 누구인가요? |
-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아래 요건에 해당하는 분들이 대상입니다.
- 신용점수 하위 10% 이하 (2024년 4월 기준 KCB 675점 또는 NICE 724점 이하)
- 금융이력 부족자 또는 연체 경험자로 햇살론 15보증이 거절된 자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 계층, 긴급생계지원대상자
- 상환 능력이 있는 저신용자, 연소득 4,5004,500만 원 이하
- 최근 1년 내 상환이력 또는 근로소득 증빙 가능자
📌 단, 과도한 연체 중이거나 채무조정 미이행자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.
💰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 |
보증한도 및 금리
- 대출한도: 최대 1,000만 원 (최초 이용 시 최대 500500만 원 이내, 6개월 이상 정상이용 시 추가대출 1회 이용자격 부여)
- 금리: 연 15.9% 내외 (보증료 포함, 단일금리)
- 보증료: 연 1~2% 수준 (일부 면제 가능)
- 상환방식
- 거치기간: 1년
- 상환기간: 3년 ~ 5년 원리금 균등분할상환
- 우대금리 :
⓵ 상환기간 중, 성실상환시 1년마다 금리인하 (3년 선택 시 3.0% p씩, 5년 선택 시 1.5% p씩)
⓶ 보증신청 시 신용부채컨설팅 이수자 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성공자 0.1%p 인하
⓷ 성실상환 완료 시 횟수 제한 없이 재이용 가능
🏦 어디서 신청하나요? (취급처) |
서민금융진흥원
👉 https://www.kinfa.or.kr
전국 22개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
신한·우리·하나·KB국민 등 주요 시중은행
대출기관 : 광주은행, 전북은행, 웰컴저축은행(추가대출), DB저축은행(추가대출), NH저축은행(추가대출), 우리금융저축은행(추가대출우리 금융저축은행(추가대출), IBK저축은행, 하나저축은행, 신한저축은행, BNK저축은행, KB저축은행, 융창저축은행, 진주저축은행, SBI저축은행
DB저축은행, 우리금융저축은행우리 금융저축은행, IBK저축은행, 하나저축은행, 신한저축은행, BNK저축은행, 융창저축은행, SBI저축은행
✅ 온라인 신청 가능: 모바일 앱 '서민금융 한눈에' 보증신청 후 협약금융회사 앱 또는 창구이용 대출신청 가능합니다.
✅ 본인명의 핸드폰이 없는 경우 등 디지털 취약계층은 1397 서민금융콜센터를 통해 가까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방문 예약 후 오프라인 신청 가능합니다.
📝 이용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 |
-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 앱 접속
- 상담 및 자격심사 보증신청
- 신용조회 및 상환능력 평가, 금융교육 이수
- 보증약정 체결, 보증서 발급
- 협약은행 대출신청
- 대출 실행
📂 준비서류는 무엇인가요? |
대출 신청 전 반드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증빙서류는 1개월 이내 발급한 서류만 인정됩니다. 기타 자세한 사항은 ‘서민금융진흥원’ 홈페이지를 참조하세요.
- 신분증 (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)
- 소득증빙자료
- 근로소득자: 급여명세서, 근로계약서 등
- 자영업자: 사업자등록증, 소득금액증명원 등
- 거주지 증명 서류 (임대차계약서 등)
- 금융거래확인서 (요청 시)
❗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|
대출 상환능력 평가 결과에 따라 보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.
보증서를 발급받더라도 은행의 대출 심사를 통과해야 최종 승인됩니다.
연체 발생 시 신용점수 하락 및 추심 가능성이 있으니 반드시 계획적인 상환이 필요합니다.
📌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! 신용등급이 낮아도 성실하게 재기를 꿈꾸는 분 금융소외계층에 해당되며 저금리 대출이 필요한 분 기존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로 전환하고 싶은 분 최저신용자 특례보증은 단순한 대출이 아니라, 경제적 재기의 디딤돌이 될 수 있습니다.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! |
'경제생활 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장려금 반기신청 제도, 신청자격부터 신청방법, 지급절차까지 (3) | 2025.04.06 |
---|---|
2025 근로·자녀장려금, 지원대상, 신청기간, 신청방법 총정리 (2) | 2025.04.06 |
2025년 20·30대가 꼭 알아야 할 정부 지원 혜택 총정리 (6) | 2025.04.01 |
천원주택이 뭐길래? 신혼부부를 위한 초저가 공공임대 총정리 (2) | 2025.03.31 |
사회초년생을 위한 첫 신용카드 선택 가이드 – 혜택 비교 & 추천 카드 (3) | 2025.03.30 |